• 2025. 1. 31.

    by. 소리디노

     

    목차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자산을 구입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 가치는 감소합니다. 이를 회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바로 감가상각(depreciation)입니다. 감가상각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면 세금 절감과 재무 건전성 유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달청 기준으로 감가상각비를 산출하는 방법과 주요 계산 방식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조달청 감가상각비 산출 계산 방법

     

    1. 감가상각이란?

     

    감가상각이란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하면서 자산의 가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회계 장부에 반영하는 과정입니다. 유형자산(예: 건물, 기계, 차량 등)은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줄어드는데, 이를 비용으로 인식함으로써 기업의 이익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조달청에서는 공공조달 계약 및 예산 집행의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감가상각을 필수적으로 적용하며,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 시행 조달청 내용연수 개정 물품 내구연한 알아보기

    2025년 1월 1일부터 조달청의 내용연수가 새롭게 개정되었습니다. 이 개정은 공공기관들이 자산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예산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이번 개정은 자산의

    soul-rich.tistory.com

     

    2. 조달청 감가상각비 계산 방법

     

    조달청에서 감가상각비를 산출하는 방법은 정액법을 기본 원칙으로 합니다. 이는 자산의 취득가액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한 금액을 사용 연수로 나누어 매년 동일한 감가상각비를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1) 정액법 (Straight-Line Method)

     

    - 조달청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으로, 자산의 가치를 사용 기간 동안 균등하게 배분합니다.

     

    - 공식: 연간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 - 잔존가치) \ 사용연수

     

    - 예제:

     

    • 취득가액: 10,000,000원
    • 잔존가치: 1,000,000원
    • 사용연수: 5년

    (10,000,000 - 1,000,000) \ 5 = 1,800,000원

     

    즉, 매년 1,800,000원의 감가상각비를 인식합니다. 조달청에서는 이를 통해 예산 운영의 효율성을 유지하며, 공공 자산의 가치 변화를 일정하게 반영합니다.

     

     

     

    공사 자재 구매 방식 비교하기 (관급 자재, 사급 자재, 도급 자재)

    공사를 진행할 때 자재 구매는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자재를 구매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시죠? 오늘은 공사 자재 구매 방식으로 대표적인 관급, 사급, 도급 방식에 대

    soul-rich.tistory.com

     

    2) 조달청에서 감가상각을 적용하는 대상

     

    조달청에서는 감가상각을 적용하는 주요 유형자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 건물 및 구조물: 20~50년

     

    - 기계 및 장비: 5~15년

     

    - 차량 및 운반구: 5~10년

     

    - 사무기기(컴퓨터 등): 3~5년 이는 조달 계약 시 자산의 가치를 합리적으로 산정하는 데 활용되며, 해당 기준은 조달청 운영 지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조달청에서 알려주는 물품의 내용연수를 아래의 사이트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편리하게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조달청 물품관리시스템 바로가기

     

    RFID 물품관리 시스템

     

    rfid.g2b.go.kr

     

    3. 감가상각이 조달 계약에 미치는 영향

     

    조달청에서는 감가상각비를 반영하여 공공조달 비용을 산정하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습니다

     

    ✅ 공정한 예산 운영 감가상각을 고려하여 자산 비용을 합리적으로 배분함으로써 공공자금이 투명하게 운영됩니다.

     

    ✅ 기업의 참여 유도 감가상각을 고려한 입찰 가격 산정은 기업들이 공정한 가격으로 조달 계약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장기적인 자산 관리 감가상각을 통해 조달된 자산의 장기적인 유지보수 및 교체 시점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4. 마무리

     

    조달청에서는 감가상각비를 반영하여 공공조달을 운영하며, 이는 자산의 가치를 투명하게 관리하고 예산 집행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정액법을 중심으로 감가상각을 적용하여 기업과 정부 간의 공정한 계약을 유도합니다. 지금까지 조달청 감가상각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Designed by Organic